안녕하세요 웅스핏 TISTORY 블로그 입니다.
오늘은 장건강을 위한 생활 습관중 어떻게 식단을 개선 해야하는지 왜 식단을 개선 해야하는지 같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가공 식품, 지방이 많은 음식, 카페인, 탄산음료, 알코올 등 소화에 좋지 않은 음식을 줄이고 과일, 채소, 전분질이 풍부한 음식, 발효 식품 등 건강한 음식을 섭취해야합니다.
너무 당연한 사실이지만 왜 그래야 하느지는 하나씩 알아보며 건강한 생활 습관을 갖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가공 식품 줄이기
여기서 가공 식품이란, 인스턴트 식품, 간편식, 패스트푸드 등을 말하고, 가공식품은 소화에 좋지 않은 첨가물이나 트랜스지방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첨가물은 식품의 맛, 질감, 보전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것들 입니다.
주요 첨가물 중 일부는 다음과 같습니다.
인공 감미료: 아스파탐, 사이클라맛 등의 인공 감미료는 설탕 대신 사용되며, 칼로리가 낮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감미료는 소화불량, 설사, 가스 등 장애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인공 색소: 인공 색소는 음식의 외관을 개선하기 위해 현재까지 많은 기업에서 사용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알레르기 반응, 호흡기 문재, 발암 가능성등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줍니다.
트랜스지방: 트랜스지방은 가공 식품에서 자주 발견되는 첨가물 입니다. 식품의 유통기한을 연장하고 식감을 개선하는대 많이 사용 됩니다. 그러나 트랜스지방은 심혈관 질환 위험을 높이고, 염증을 유발하며, 소화계에 부담을 줍니다.
소듐: 가공 식품에는 대개 염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과다한 소듐 섭취는 고혈압, 심혈관 질환, 신장 질환 위험을 높이며 체내 염증을 증하시킵니다.
MSG (Monosodium Glutamate): 맛 강화제로 사용되는 대표 첨가물인 MSG는 일부 사람들에게 알레르기 반응, 두통, 소화불량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인공 방부제: 가공 식품의 유통기한을 연장하기위해 사용되는 인공 방부제는 알레르기, 호흡기 문제, 암 위험 증가 등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술 수 있습니다.
소화 분만 아닌 장건강에도 좋지 않은 첨가물이 함유된 가공 식품을 줄이고, 신선한 과일, 채소, 오트밀과 같은 자연의 영양소가 풍부한 음식으로 섭취함으로서 소화계 장건강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지방이 많은 음식 피하기
튀김, 기름진 음식, 고기 중 지방이 많은 부위 등은 소화에 부담을 주며, 장 건강에 악영향을 줄수 있습니다.
이러한 음식들 대신, 신선한 채소, 생선, 특히 오메가-3 (omega-3)이 풍부한 지방산이 함유된 생선을 적극 추천 합니다.
지방은 에너지 공금, 세포 구조 유지, 영양소 흡수 등 몸에 필요한 여러 역할을 하지만, 지나친 지방 섭취는 건강에 좋지 않습니다.
과도한 지방 섭취가 장 건강과 관련이 있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소화 부담 증가: 고지방 음식은 소화 과정에서 더 많은 시간과 에너지가 소요 됩니다. 이로 인해 소화기관에 부담이 가해지고, 소화불량이나 위장장애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염증 유발: 특히 트랜스 징방과 포화 지방이 많은 음식은 체내 염증을 증가시키며, 장내 염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는 장건강을 저해하고, 만성질환 발생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장내 미생물 균형 변화: 고지방 음식은 장내미생물 균형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유익한 미생물 감소와 유해한 미생물 증가가 발생하며, 장 건강에 악영향을 미칩니다.
건강한 지방 섭취를 위한 구체적인 방법도 같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불포화 지방 섭취: 불포화 지방은 심혈관 건강에 좋은 영향을 미칩니다. 견과류, 씨앗, 아보카도, 올리브 오일 등의 식품을 통해 불포화 지방을 섭취하길 추천 드립니다.
오메가-3 (omega-3) 지방산 섭취: 오메가-3 지방산은 염증 감소, 신경계 건강, 심혈관 건강에 도움을 줍니다. 연어, 정어리, 호두, 아마씨 등의 식품에서 오메가-3 지방산을 섭취할 수 있습니다.
포화지방과 트랜스 지방 줄이기: 포화 지방과 트랜스 지방은 심혈관 질환 위험을 높이고, 염증을 유발합니다. 그래서 동물성 지방이 많은 고기, 버터, 트랜스지방이 함유된 마가리, 인스턴트 식품, 패스트푸드 등을 피하고, 건강한 지방이 함유된 식품을 드시는걸 적극 추천 합니다.
조리 방법 변경: 기름을 많이 사용하는 튀김이나 볶음 요리보다는, 쪄서 먹거나, 찜, 구이 등의 조리법을 사용하여 지방 섭취를 줄이는 조리 방법을 추천 드리고 싶습니다.
식사량 조절: 과도한 음식 섭취 자체가 소화기관에 부담을 주므로, 적당한 식사량을 유지 하고 과식을 피하는것이 장건강을 위한 건강 한 생확습관으로 이어질수 있습니다.
지방 섭취화 관련된 식단 변화는 장건강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건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올바른 지방 섭취와 건강한 음식 선택을 통해 장건강을 개선하고, 만성 질환의 발생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Fitness Info > Diet Info'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 마시기의 중요성, 건강한 장을 위한 커피 대체 추천! (0) | 2023.03.20 |
---|---|
장 건강 유산균과 섬유질, 건강한 생활 습관, 식단 개선 part.2 (0) | 2023.03.18 |
바디프로필 준비하면 한번쯤 먹어봤을 아스파라거스, 아스파라거스 먹으면 땀냄새 심해지나? 땀냄새 방지 방법! (0) | 2023.03.13 |
살찌는 이유? 식습관 부터 바꾸면 다이어트 효과 만점!! (0) | 2023.02.25 |
프로틴 쉐이크 설명서 (0) | 2023.02.23 |
댓글